동학농민혁명 유족 수당, 정말 합당한가?

1. 정책 개요

전라북도는 **2026년부터 도내에 거주하는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직계 후손(자녀·손자녀·증손자녀)**에게 매월 10만 원의 수당을 지급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대략 915명 중 가구당 1인, 약 429명이 실제 수령할 것으로 보이며, 예산은 연간 약 109억 원 규모입니다 hankyung.com+12khan.co.kr+12kyeonggi.com+12.

또한, 정읍시는 2020년 이미 최초로 기초단위에서 90여 명에게 수당을 지급 중입니다 .


2. 긍정적 측면 평가

  • 역사적 명예 회복: 동학농민혁명이 대한민국 민주·독립운동의 모태라는 점을 강조하며, 그 정신의 재조명 필요성은 분명 존재합니다 kyeonggi.com+3nocutnews.co.kr+3v.daum.net+3.
  • 지방정부 문화정책의 혁신: 전북이 최초로 나선다는 점에서 역사 기념사업과 지방정책의 융합 시도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youtube.com.

3. 비판적 접근: 형평성 vs 역사보상

3.1 조세정의 문제

3.2 유족 심사 기준의 신뢰성

  • 기록 부재 문제: 동학혁명은 대중적 민중운동이었고, 참여자 개별 기록이 대부분 남아있지 않습니다 youtube.com+11hankyung.com+11wikitree.co.kr+11.
  • 인증 기준 불투명: 일반 참여자의 후손을 어떻게 판별할지, “‘주먹구구식’ 심사 시스템”에 대한 우려가 제기됩니다 hankyung.com.

3.3 포퓰리즘 우려

  • 네티즌들은 “포퓰리즘 현금 살포 정책”이라며 비판합니다 hankyung.com+1newdaily.co.kr+1.
  • 한 언론의 사설도 “황당하고 어이없다”며 전북도의 결정을 비판했습니다 dt.co.kr.

4. 태도와 방향 설정이 필요하다

4.1 역사적 명예 vs 현재 복지

  • 역사적 의미를 되살리는 것은 좋지만, 오늘날 국민의 세금으로 지원하는 근거와 정당성을 정밀하게 재검토해야 합니다.
  • 수당보다는 교육, 기념사업, 연구, 기록 아카이브 강화간접 보상 중심으로 보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습니다.

4.2 형평성 맞춤형 기준 필요

  • 독립유공자·전쟁 유공자와 거의 동일한 유족 심사 기준을 갖추느냐”는 의문이 남습니다.
  • 지원 대상 범위를 **‘자격 요건 엄격히 제한’**하거나, 제도적 정비와 공개 포럼을 통해 형평성 논란을 사전에 차단해야 합니다.

4.3 선례의 함정 경계

  • 최초 시도라는 지역자치 차원의 실험성은 인정되지만, 다른 지역이나 시대의 역사 보상 요구로 확대될 위험도 있습니다.
  • 따라서 정책 시행 전 “어디까지, 누가 대상이며, 왜?”라는 명확한 기준 설정이 필수입니다.

5. 결론 및 제언

쟁점평가제언
정책 필요성역사 기념, 정신 계승 측면 긍정적유지하되 재원 출처·형평성 재검토
심사 기준기록·증빙 취약함학계·시민단체 포함한 공개 심사기구 구성
정책 방식직접 수당 방식은 논란교육·기념사업 중심으로 전환 검토
확장 위험다른 역사 사건까지 요구 증가 우려범위·대상 명확히 한 모범 선례 제시

마지막 생각

전북도의 동학농민혁명 유족 수당 지급 정책은, “역사적 의미의 회복”이라는 이상과, “세금 사용의 합리성”이라는 현실 사이에서 중요한 시험대에 올랐습니다.

  • 긍정적 면: 역사 기념, 민중운동에 대한 예우, 지역 차원의 혁신적 시도
  • 비판적 면: 조세정의 문제, 형평성 논란, 인증 기준의 불투명성

전북도는 제도 설계의 투명성과 정교함을 강화하고, 포퓰리즘 비판을 넘어 합리적 역사보상 모델로 우뚝 서야 합니다.
세금을 누구에게 줘야 하는가, 왜 줘야 하는가 – 이 질문의 답에 대한 정책적 성찰과 사회적 합의가 필요합니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