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농민혁명 유족 수당, 정말 합당한가?


1. 정책 개요
전라북도는 **2026년부터 도내에 거주하는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직계 후손(자녀·손자녀·증손자녀)**에게 매월 10만 원의 수당을 지급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대략 915명 중 가구당 1인, 약 429명이 실제 수령할 것으로 보이며, 예산은 연간 약 109억 원 규모입니다 hankyung.com+12khan.co.kr+12kyeonggi.com+12.
또한, 정읍시는 2020년 이미 최초로 기초단위에서 90여 명에게 수당을 지급 중입니다 .
2. 긍정적 측면 평가
- 역사적 명예 회복: 동학농민혁명이 대한민국 민주·독립운동의 모태라는 점을 강조하며, 그 정신의 재조명 필요성은 분명 존재합니다 kyeonggi.com+3nocutnews.co.kr+3v.daum.net+3.
- 지방정부 문화정책의 혁신: 전북이 최초로 나선다는 점에서 역사 기념사업과 지방정책의 융합 시도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youtube.com.
3. 비판적 접근: 형평성 vs 역사보상
3.1 조세정의 문제
- 120~130년 전 사건이기에, “조선시대 세금을 왜 지금의 국민이 부담하느냐”는 비판이 나옵니다 newdaily.co.kr+1wikitree.co.kr+1.
- 특히, “임진왜란·병자호란 유족도 지급해야”라는 주장까지 대두되며, 형평성 논란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kyeonggi.com+3nocutnews.co.kr+3v.daum.net+3.
3.2 유족 심사 기준의 신뢰성
- 기록 부재 문제: 동학혁명은 대중적 민중운동이었고, 참여자 개별 기록이 대부분 남아있지 않습니다 youtube.com+11hankyung.com+11wikitree.co.kr+11.
- 인증 기준 불투명: 일반 참여자의 후손을 어떻게 판별할지, “‘주먹구구식’ 심사 시스템”에 대한 우려가 제기됩니다 hankyung.com.
3.3 포퓰리즘 우려
- 네티즌들은 “포퓰리즘 현금 살포 정책”이라며 비판합니다 hankyung.com+1newdaily.co.kr+1.
- 한 언론의 사설도 “황당하고 어이없다”며 전북도의 결정을 비판했습니다 dt.co.kr.
4. 태도와 방향 설정이 필요하다
4.1 역사적 명예 vs 현재 복지
- 역사적 의미를 되살리는 것은 좋지만, 오늘날 국민의 세금으로 지원하는 근거와 정당성을 정밀하게 재검토해야 합니다.
- 수당보다는 교육, 기념사업, 연구, 기록 아카이브 강화 등 간접 보상 중심으로 보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습니다.
4.2 형평성 맞춤형 기준 필요
- “독립유공자·전쟁 유공자와 거의 동일한 유족 심사 기준을 갖추느냐”는 의문이 남습니다.
- 지원 대상 범위를 **‘자격 요건 엄격히 제한’**하거나, 제도적 정비와 공개 포럼을 통해 형평성 논란을 사전에 차단해야 합니다.
4.3 선례의 함정 경계
- 최초 시도라는 지역자치 차원의 실험성은 인정되지만, 다른 지역이나 시대의 역사 보상 요구로 확대될 위험도 있습니다.
- 따라서 정책 시행 전 “어디까지, 누가 대상이며, 왜?”라는 명확한 기준 설정이 필수입니다.
5. 결론 및 제언
쟁점 | 평가 | 제언 |
---|---|---|
정책 필요성 | 역사 기념, 정신 계승 측면 긍정적 | 유지하되 재원 출처·형평성 재검토 |
심사 기준 | 기록·증빙 취약함 | 학계·시민단체 포함한 공개 심사기구 구성 |
정책 방식 | 직접 수당 방식은 논란 | 교육·기념사업 중심으로 전환 검토 |
확장 위험 | 다른 역사 사건까지 요구 증가 우려 | 범위·대상 명확히 한 모범 선례 제시 |
마지막 생각
전북도의 동학농민혁명 유족 수당 지급 정책은, “역사적 의미의 회복”이라는 이상과, “세금 사용의 합리성”이라는 현실 사이에서 중요한 시험대에 올랐습니다.
- 긍정적 면: 역사 기념, 민중운동에 대한 예우, 지역 차원의 혁신적 시도
- 비판적 면: 조세정의 문제, 형평성 논란, 인증 기준의 불투명성
전북도는 제도 설계의 투명성과 정교함을 강화하고, 포퓰리즘 비판을 넘어 합리적 역사보상 모델로 우뚝 서야 합니다.
세금을 누구에게 줘야 하는가, 왜 줘야 하는가 – 이 질문의 답에 대한 정책적 성찰과 사회적 합의가 필요합니다.